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건강보험료 조회하는 방법, 신청 방법

by DAVIDPYO 2023. 3.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떡국이 아빠입니다.

4월에도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을 하는데요.

보통 10명 중 6명은 추가 납부를 해야 하고,

두세 명 정도는 환급받게 됩니다.

예전에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에 대해

별로 신경을 안 썼지만

최근 고금리, 고물가

국민연금 고갈 문제를

비롯해서 해마다 늘어나는 건강보험료율로

4월에 추가로 더내는 경우가 많은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개념,

조회하는 방법, 신청 방법 등을

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모두 소득에 비례해서 납부합니다.

국민연금은 최근 고갈 문제로 말이 많지만

나중에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고

고용보험은 실직시 실업급여를 받거나

최소한 정년퇴직만 해도 급여로

어느 정도 돌려받을 수 있는 반면

건강보험은 아프지 않는 이상 

돌려받기 어렵기 때문에

매월 빠져나가는 금액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미 연말정산이 다 끝났는데

4월에 왜 따로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을 한다는 걸까요?

 

직장 가입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전년도에 대략적인 보수 총액을

먼저 회사로부터 제출 받아서

우선 건강보험료를 부과하고

다음의 4월에 전년도 보수

변동금액에 대한 신고서를

 

다시 회사로부터 받아서

보수변동 내용을 확정하고

사후의 건강보험료를 정산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호봉 인상이나 급여인상, 상여금

그리고 주로 연말에 지급받는 성과금으로

연간 총 급여가 상승한 직장인들은

작년 한 해 동안 더 받은 급여만큼

덜 낸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고

급여가 감소한 분들은 환급받게 됩니다.

보통 급여가 동결되거나

인상되는 경우가 많아서 7~80%는

추가로 납부하고

2~30% 정도는 환급받게 되는데요.

그런데 그동안 왜 더내는 걸 모르고 있었을까요?

 

추가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가

4월분 건강보험료보다 적을 경우에는
4월 월급에서 건강보험료로 공제돼서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고

 

정산한 보험료가 4월분 건강보험료보다

큰 경우에는 자동으로 5개월로 나눠서

건강보험료와 함께 조금씩 공제되기 때문에

눈치채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혹시 5회 분할납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 제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5회가 아니라 1회부터 10회까지

선택해서 일시납하거나 분할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환급받는 경우 4월분 급여에 포함해서 환급됩니다.

추가 납부하는지 환급받는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에 카카오톡 등으로 로그인 하시고

메인 화면에서 보험료 조회 납부 메뉴로 들어가시면

좌측의 건강보험 연말정산내역 조회가 있는데요

이곳에서 연도별로 추가로 납부했거나

환급받은 금액을 모두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쪽에 환급 정도의 신청 메뉴에서는

연말정산 환급금 외에도

본인부담금 환급금 등 6가지 건강보험료 환급금을

조회해보실 수 있으니까

이번 기회에 다른 환급금은 없는지

한번씩 확인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용이 유익했다면,

주변 분들에게 공유해주시고

다음 글에서 우리 또 만나요.

오늘도 행복하세요.

반응형

댓글